(2021 KAKAO BLIND) 광고 삽입
문제 설명
카카오TV에서 유명한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인 죠르디는 환경 단체로부터 자신의 가장 인기있는 동영상에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한 공익광고를 넣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평소에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죠르디”는 요청을 받아들였고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청자들이 가장 많이 보는 구간에 공익광고를 넣으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시청자들이 해당 동영상의 어떤 구간을 재생했는 지 알 수 있는 재생구간 기록을 구했고, 해당 기록을 바탕으로 공익광고가 삽입될 최적의 위치를 고를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광고는 재생 중인 동영상의 오른쪽 아래에서 원래 영상과 동시에 재생되는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제공됩니다.
다음은 “죠르디”가 공익광고가 삽입될 최적의 위치를 고르는 과정을 그림으로 설명한 것입니다.
- 그림의 파란색 선은 광고를 검토 중인 “죠르디”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을 나타냅니다.
- 위 그림에서, “죠르디” 동영상의 총 재생시간은 02시간 03분 55초 입니다.
- 그림의 검은색 선들은 각 시청자들이 “죠르디”의 동영상을 재생한 구간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 검은색 선의 가운데 숫자는 각 재생 기록을 구분하는 ID를 나타냅니다.
- 검은색 선에 표기된 왼쪽 끝 숫자와 오른쪽 끝 숫자는 시청자들이 재생한 동영상 구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나타냅니다.
- 위 그림에서, 3번 재생 기록은 00시 25분 50초 부터 00시 48분 29초 까지 총 00시간 22분 39초 동안 죠르디의 동영상을 재생했습니다. 1
- 위 그림에서, 1번 재생 기록은 01시 20분 15초 부터 01시 45분 14초 까지 총 00시간 24분 59초 동안 죠르디의 동영상을 재생했습니다.
- 그림의 빨간색 선은 “죠르디”가 선택한 최적의 공익광고 위치를 나타냅니다.
- 만약 공익광고의 재생시간이 00시간 14분 15초라면, 위의 그림처럼 01시 30분 59초 부터 01시 45분 14초 까지 공익광고를 삽입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구간을 시청한 시청자들의 누적 재생시간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 01시 30분 59초 부터 01시 45분 14초 까지의 누적 재생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01시 30분 59초 부터 01시 37분 44초 까지 : 4번, 1번 재생 기록이 두차례 있으므로 재생시간의 합은 00시간 06분 45초 X 2 = 00시간 13분 30초
- 01시 37분 44초 부터 01시 45분 14초 까지 : 4번, 1번, 5번 재생 기록이 세차례 있으므로 재생시간의 합은 00시간 07분 30초 X 3 = 00시간 22분 30초
- 따라서, 이 구간 시청자들의 누적 재생시간은 00시간 13분 30초 + 00시간 22분 30초 = 00시간 36분 00초입니다.
[문제] “죠르디”의 동영상 재생시간 길이 play_time, 공익광고의 재생시간 길이 adv_time, 시청자들이 해당 동영상을 재생했던 구간 정보 lo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시청자들의 누적 재생시간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곳에 공익광고를 삽입하려고 합니다. 이때, 공익광고가 들어갈 시작 시각을 구해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만약, 시청자들의 누적 재생시간이 가장 많은 곳이 여러 곳이라면, 그 중에서 가장 빠른 시작 시각을 return 하도록 합니다.
[제한사항]
- play_time, adv_time은 길이 8로 고정된 문자열입니다.
- play_time, adv_time은 HH:MM:SS 형식이며, 00:00:01 이상 99:59:59 이하입니다.
- 즉, 동영상 재생시간과 공익광고 재생시간은 00시간 00분 01초 이상 99시간 59분 59초 이하입니다.
- 공익광고 재생시간은 동영상 재생시간보다 짧거나 같게 주어집니다.
- logs는 크기가 1 이상 300,000 이하인 문자열 배열입니다.
- logs 배열의 각 원소는 시청자의 재생 구간을 나타냅니다.
- logs 배열의 각 원소는 길이가 17로 고정된 문자열입니다.
- logs 배열의 각 원소는 H1:M1:S1-H2:M2:S2 형식입니다.
- H1:M1:S1은 동영상이 시작된 시각, H2:M2:S2는 동영상이 종료된 시각을 나타냅니다.
- H1:M1:S1는 H2:M2:S2보다 1초 이상 이전 시각으로 주어집니다.
- H1:M1:S1와 H2:M2:S2는 play_time 이내의 시각입니다.
-
시간을 나타내는 HH, H1, H2의 범위는 00~99, 분을 나타내는 MM, M1, M2의 범위는 00~59, 초를 나타내는 SS, S1, S2의 범위는 00~59까지 사용됩니다. 잘못된 시각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예: 04:60:24, 11:12:78, 123:12:45 등)
-
return 값의 형식
- 공익광고를 삽입할 시각을 HH:MM:SS 형식의 8자리 문자열로 반환합니다.
문제 풀이
문제의 핵심은 다른 여러 시간 문제들과 같이 시간을 초 단위로 통일시켜 주는 것과 슬라이딩 윈도우이다.
우리가 광고를 넣는 시간은 고정되어 있고 정해진 광고 시간 내에 가장 누적 재생 시간이 긴 구간을 찾아서 출력해야 한다. 이 때 매 구간마다 누적 재생시간을 새로 구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사용하여 동영상 재생 구간의 처음 부분에 광고시간을 넣고, 1초씩 광고시간을 뒤로 움직이며 맨 앞의 1초간의 누적 재생시간은 빼고 맨 뒤의 1초간의 누적 재생시간을 더하는 식으로 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처음 문제를 풀 때엔 시간을 초 단위로 통일하지 않고 시 분 초를 파싱하여 따로 계산하였는데 이렇게 하였더니 테스트케이스의 실패가 많았다. 초 단위로 통일시켜주자 전부 성공하였는데 아무래도 시 분 초를 따로 계산하면 계산이 복잡해져 결과에 실수가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결과적으로 매 초마다의 누적 재생시간을 산출하여 배열로 저장하고, 동영상 시작부터 광고길이 만큼의 구간의 누적 재생시간을 구한 후, 1초씩 이동시켜 최대 누적재생시간을 가진 구간을 구하면 되는 문제이다.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time_to_sec(string time) { //시간을 파싱하여 초 단위로 통일시켜주는 함수
int h = stoi(time.substr(0, 2));
int m = stoi(time.substr(3, 2));
int s = stoi(time.substr(6, 2));
return 3600*h + 60*m + s;
}
string solution(string play_time, string adv_time, vector<string> logs) {
string answer = "";
int time[360010]={0}; //초 단위로 누적 재생시간을 저장하는 배열
for(string s : logs) {
int t1=time_to_sec(s.substr(0,8));
int t2=time_to_sec(s.substr(9));
for(int i=t1; i<t2; i++) time[i]+=1;
} //누적 재생시간 산출
int pt=time_to_sec(play_time);
int ad=time_to_sec(adv_time);
long sum=0;
for(int i=0; i<ad; i++) {
sum+=time[i];
}
long ssum=sum;
for(int i=ad; i<pt; i++) {
ssum-=time[i-ad]; // 앞의 1초를 빼고
ssum+=time[i]; // 뒤의 1초를 더해줌
if(ssum>sum) {
sum=ssum;
long t=i-ad+1;
int h = t / 3600; t %= 3600;
int m = t / 60;
int s = t % 60;
string sh=to_string(h);
string sm=to_string(m);
string ss=to_string(s);
if(sh.length()!=2) sh="0"+sh;
if(sm.length()!=2) sm="0"+sm;
if(ss.length()!=2) ss="0"+ss;
answer=sh+":"+sm+":"+ss;
}
}
if(answer.empty()) answer="00:00:00";
return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