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질의응답-라우터와 NAT

서론

우리가 흔히 공유기라 부르는 라우터는 웹의 작동 순서 상에서 무슨 역할을 하는가? 가 궁금해져서 질문을 했고 그 과정에서 NAT라는 개념이 나와 다시 질문했다.

질의응답

나의 말:

라우터는 어떤 역할을 해?

ChatGPT의 말:

좋아, “라우터(Router)”의 역할은 네트워크 쪽에서 엄청 중요해!
단순하게 말하면:

🔁 라우터는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가 어디로 가야 할지 결정해주는 길잡이야.

근데 이걸 좀 더 구체적으로 뜯어보면, 아래처럼 작동해.


🧠 라우터(Router)의 역할 한눈에 보기

기능 설명
🌍 네트워크 간 연결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 (ex. 집 ↔ 인터넷)
🗺️ 패킷 경로 결정 목적지 IP를 보고 “이 패킷은 어디로 가야 할까?” 판단
📮 IP 포워딩 받은 데이터 패킷을 다음 네트워크로 전달
🔒 기본적인 방화벽 기능 외부에서 못 들어오게 막거나 필터링도 가능
🧭 NAT (주소 변환) 내부 사설 IP ↔ 외부 공인 IP 주소 변환
📡 DHCP 역할 (일부 모델) 내부 기기에 자동으로 IP를 할당해 주기도 함

🏡 예시: 집에서 라우터가 하는 일

[내 컴퓨터 192.168.0.2] → [공유기(라우터)] → [인터넷]
  • 네가 웹 브라우저에서 naver.com에 접속하면?
    1. 라우터는 네 컴퓨터가 보낸 패킷을 받아서
    2. 공인 IP로 바꾸고 (NAT)
    3. 인터넷 쪽으로 그 패킷을 전달해 줘
    4. 응답이 오면 다시 네 컴퓨터로 보내줘

🔁 라우터 vs 스위치 vs 허브

구분 라우터 스위치 허브
목적 네트워크 간 연결 네트워크 내 기기 연결 기기 간 단순 브로드캐스트
계층 3계층 (IP) 2계층 (MAC) 1계층 (물리)
똑똑함 매우 똑똑 중간 바보(?)

🌐 인터넷 전체 구조에서의 라우터

인터넷도 보면 수많은 라우터가 연결되어 있어.
각 라우터는 “이 목적지로 가려면 어느 라우터를 거쳐야 빨리 가냐?” 이런 식으로 판단해.

이런 정보를 모아둔 게 바로 라우팅 테이블 (Routing Table)


🔒 추가로: 라우터에서의 보안 기능 예시

  • 포트 포워딩 (내부 서버 연결)
  • MAC 주소 필터링
  • 외부 IP 차단
  • VPN 연결 등

🧩 요약 한줄

라우터는 데이터가 네트워크 사이를 여행할 때 길을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 관문 역할


더 들어가고 싶으면,

  • NAT 작동 방식
  • 라우팅 프로토콜 (RIP, OSPF, BGP)
  • 라우터 설정 실습 (ipTIME이나 Cisco 예시)

같은 것도 알려줄 수 있어!

어느 정도 깊이로 더 알고 싶어? 😎

나의 말:

NAT에 대해 자세히 알려줘. 사설 IP와 공식 IP가 뭔지 모르겠어

ChatGPT의 말:

좋아! 네트워크를 본격적으로 이해하려면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 IP / 공인 IP 개념은 완전히 찐하게 알고 가야 해.

지금부터 쉽게, 그러나 깊게 설명해볼게. ☕️


📌 핵심 먼저: NAT가 뭐야?

NAT (네트워크 주소 변환)
“내부의 사설 IP ↔ 외부의 공인 IP”를 바꿔주는 기술이야.
보통 라우터(공유기)가 이 역할을 함.


🏠 사설 IP vs 공인 IP 한눈에 보기

구분 설명 예시
사설 IP (Private IP)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쓰이는 IP 192.168.0.10, 10.0.0.5, 172.16.0.1
공인 IP (Public IP) 인터넷에 직접 노출되는 주소 223.38.21.11 (SK브로드밴드 등에서 부여)
누가 줌? 사설 IP: 라우터(DHCP) 공인 IP: 인터넷 제공자(ISP)
접근 가능? 외부에서 직접 접근 불가 인터넷 어디서든 접근 가능

💡 사설 IP는 중복 가능, 공인 IP는 전 세계에서 유일해야 함


🎯 왜 NAT가 필요할까?

  • IPv4 주소가 부족해!
  • 공인 IP는 비싸고 제한적이야.
  • 그래서! 사설 IP로 내부에서 여러 기기를 쓰고 →
    하나의 공인 IP로 외부와 통신하게 하자! → NAT가 이걸 해줌!

🔄 NAT 작동 방식 (예시)

[내 PC (192.168.0.2)]  →  [공유기 NAT (공인IP: 112.34.56.78)]  →  [인터넷]
  1. 네 PC가 naver.com 요청 보냄
  2. 공유기가 192.168.0.2 → 112.34.56.78:랜덤포트로 주소 바꿈 (NAT)
  3. 네이버는 112.34.56.78로 응답을 보냄
  4. 공유기가 다시 그 응답을 192.168.0.2한테 전달

이때 공유기는 NAT 테이블을 사용해서
누가 어떤 요청을 보냈는지 매핑해두고, 응답도 정확히 돌려줘.


🔐 NAT의 장점

장점 설명
✅ IPv4 주소 절약 하나의 공인 IP로 수십~수백 대 커버 가능
✅ 보안성 향상 외부에서 내부 사설 IP 직접 접근 불가
✅ 유동 IP 처리 내부 네트워크 구조 유지 가능

✋ NAT의 단점

  • 외부에서 내부로 직접 접근이 어려움
    • 그래서 포트포워딩이나 VPN을 써야 해
  • 게임이나 실시간 서비스에서 NAT가 방해되기도 함 (P2P 연결 어려움)

🔄 다양한 NAT 종류

종류 설명
🔁 Static NAT 고정된 내부-외부 매핑
🔁 Dynamic NAT 풀(pool)에서 임의로 매핑
🔁 PAT (Port Address Translation, aka NAT Overload) 가장 흔함! 하나의 공인 IP + 포트로 다 매핑

🌐 진짜 예시 시나리오

PC1: 192.168.0.2
PC2: 192.168.0.3
공유기: 공인IP 112.34.56.78

1. PC1이 구글 검색 → NAT 테이블에 기록됨
2. PC2가 유튜브 → 또 기록됨
3. NAT 테이블은 누가 어떤 포트로 나갔는지 기억하고 응답을 정확히 라우팅함

✏️ NAT과 포트포워딩

외부에서 내부 웹 서버(예: 192.168.0.10:8080)에 접근하고 싶다면?

포트포워딩 설정으로 112.34.56.78:80 → 192.168.0.10:8080으로 라우팅해줘야 함
→ 서버 운영, 개발자라면 필수로 알 필요 있음!


✅ 요약 한 줄

NAT는 내부 IP(사설)를 외부 IP(공인)로 바꿔주는 공유기의 핵심 기술
덕분에 우리는 집에서 여러 대의 기기로 인터넷을 쓸 수 있음!


궁금하면:

  • 포트포워딩 실습
  • NAT을 우회하는 방법 (STUN, TURN, WebRTC 등)
  • IPv6에서는 NAT이 필요 없는 이유

이런 것도 이어서 알려줄게!
지금 어디까지 더 알고 싶은지 말해줘도 좋아 🙌

정리

라우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사설IP, 공식IP의 개념과 그렇게 나뉜 이유, 그 둘을 오고가게 해주는 라우터의 NAT라는 개념을 배웠다. 인터넷 주소도 IP 뿐만이 아니라 공식과 사설 IP, MAC으로 나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